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7

영화 <팬텀 스레드> 숨겨진 바느질, 알마의 요리, 의상실 내부 소리 개봉일: 2018. 03. 08.장르: 드라마평점: 8.65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30분감독: 폴 토마스 앤더슨주연: 다니엘 데이 루이스, 빅키 크리엡스 1. 속 숨겨진 바느질영화 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작품이다. 표면적으로는 1950년대 런던을 배경으로 한 고급 의상 제작자의 삶을 그린 듯하지만, 이 영화가 담고 있는 감정의 결은 훨씬 더 깊고 복잡하다. 특히 영화 속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숨겨진 바느질’은 단순한 직물 작업을 넘어, 욕망, 권력, 관계의 흔적을 은밀하게 드러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기능한다.주인공 레이놀즈 우드콕은 고집스럽고 완벽주의적인 패션 디자이너다. 그는 세심하게 짜인 일상과 자신만의 규칙 속에서 옷을 만들고, 여성 고객들에게 이상적인 이미지를 선사한다. 겉으로.. 2025. 6. 24.
영화 <레이디 버드> 졸업 연설, 첫사랑의 실패, 첫 비행 개봉일: 2018. 04. 04.장르: 코미디, 드라마평점: 8.68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94분감독: 그레타 거윅주연: 시얼샤 로넌 1. 졸업 연설의 상징영화 를 처음 보면, 사춘기 소녀와 엄마의 갈등, 첫사랑, 대학 진학 등 흔히 볼 수 있는 청춘 성장영화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이 유독 깊은 울림을 주는 이유는, 겉으로 드러난 사건 이면에 주인공의 내면 변화와 정체성 탐색이 매우 세밀하게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영화의 후반부, ‘졸업 연설’ 장면은 단순한 학교 행사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레이디 버드라는 인물이 자신을 어떻게 재정의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레이디 버드는 자신의 본명을 거부하고 스스로를 ‘레이디 버드’라고 부르며, 기존의 사회적 틀이나 가.. 2025. 6. 24.
영화 <라이딩 위드 보이즈> 가부장제 모순, 희생과 꿈, 사랑의 현실 개봉일: 2002. 03. 08.장르: 드라마, 코미디평점: 8.99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31분감독: 페니 마샬주연: 드류 베이 모어, 스티브 잔, 아담 가르시아, 브리트니 머피, 제임스 우즈 1. 속 가부장제 모순영화 는 겉으로 보기에는 한 여성의 성장기와 고난을 다룬 휴먼 드라마로 보인다. 하지만 영화의 전개를 따라가다 보면 그 이면에 뿌리 깊게 자리한 가부장제의 모순과 부조리를 발견할 수 있다. 드류 배리모어가 연기한 주인공 ‘베벌리’의 삶을 통해 영화는 1960년대 미국 사회를 배경으로 여성이 겪는 현실적인 억압과 그 안에 숨겨진 가부장제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영화는 1960년대 미국 코네티컷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는 외형적으로는 경제적 풍요와 안정, 전통적 가족 가치.. 2025. 6. 23.
영화 <와일드라이프> 불길 속 심리, 아버지 상실감, 부모 역할 개봉일: 2019. 12. 25.장르: 드라마평점: 8.07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04분감독: 폴 다노주연: 캐리 멀리건, 제이크 질렌할, 에드 옥슨 볼드 1. 불길 속 심리2018년 폴 다노 감독의 영화 는 표면적으로는 평범해 보이는 미국 중산층 가족의 위기를 다루는 작품이다. 하지만 이 영화가 단순한 가족 드라마로만 읽히지 않는 이유는 바로 영화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불길' 때문이다. 불은 영화의 배경에 머무르지 않고, 인물의 내면, 심리 상태, 관계의 균열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불은 억눌린 욕망, 분노, 두려움, 상실의 감정을 압축적으로 담아내며, 한 가족이 해체되어 가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한다.영화는 1960년대 미국 몬태나주를 배경으로, 한 소년 조와 그의 부모.. 2025. 6. 23.
영화 <자전거 탄 소년> 실비의 손길, 자전거 고장, 무조건적 수용 개봉일: 2012. 01. 19.장르: 드라마평점: 8.78등급: 12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87분감독: 장 피에르 다르덴, 뤽 다르덴주연: 세실 드 프랑스, 토마스 도렛 1. 속 실비의 손길영화 을 처음 본 사람들은 흔히 이 작품을 아이의 도주와 성장, 가족 해체의 아픔을 그린 리얼리즘 영화로 기억한다. 하지만 조금 더 깊숙이 들여다보면, 이 영화는 ‘돌봄’이라는 행위가 얼마나 신체적인 감각을 통해 표현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인간의 정서에 깊은 영향을 끼치는지를 섬세하게 풀어낸다. 특히 실비라는 인물의 손길은 이 영화의 정서적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녀의 손끝에서 전달되는 따뜻함, 망설임 없는 접촉, 조심스러운 포옹 등 모든 신체적 표현은 단순한 행동을 넘어 아이를 감싸 안는 돌봄의.. 2025. 6. 21.
영화 <말없는 소녀> 얼굴 클로즈업, 아이가 보는 세상, 애정 결핍 개봉일:장르:평점:등급:러닝타임:감독:주연 1. 속 얼굴 클로즈업의 감정 전달영화 는 말 그대로 말이 거의 없는 영화다. 그리고 그 ‘침묵’을 진짜 감정으로 전환시키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도구는 바로 얼굴이다. 특히 카메라는 반복적으로 주인공 카이틀린의 얼굴을 클로즈업하며, 그녀가 말로 설명하지 못하는 모든 감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 영화는 대사나 외부적 사건이 아니라, 인물의 표정과 미세한 눈빛의 움직임만으로 서사를 이끌어가는 보기 드문 작품이다.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본질적인 방법으로 ‘얼굴’을 선택한 이 연출 방식은, 그 자체로 영화의 정체성과도 직결된다.클로즈업은 영화에서 감정 전달을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기법 중 하나지만, 대부분의 영화에서는 그것이 인물의 고조된 감정이나 극적.. 2025.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