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5 영화 <코다> 소리가 사라지는 순간, 손으로 전하는 감정, 캐스팅 혁신 영화 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가족을 세상과 연결하는 루비가 본인의 노래에 대한 숨은 재능을 발견하면서 겪게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본 글에서는 영화 속에서 소리를 완전히 제거하여 소리가 사리지는 순간의 연출기법을 살펴보고, 청각장애인이 수어를 사용하여 손으로 전하는 감정표현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탐구해 본다. 또한, 청작장애인 배우를 직접 캐스팅하여 기존 할리우드 방식에서 벗어난 혁신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아본다. 1. 소리가 사라지는 순간영화 는 단순한 성장 드라마가 아니라, 소리와 침묵이 감정을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하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농인 가족과 비장애인 딸의 이야기 속에서 '소리'를 단순한 청각적 경험이 아니라 정체성과 소통, 단절을 의미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한다. 특히, 특정 .. 2025. 2. 26. 영화 <마틸다> 미디어 소비에 대한 풍자, 어린이의 사회적 책임, 다양한 교육 모델의 비교 영화 에서 마틸다의 부모는 책은 쓸모없는 것이라 하고 TV만 소비하며 마틸다에게는 무심관이다. 마틸다는 부모가 관심을 주지 않자 어릴 때부터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스스로 세상을 배워나간다. 그러나 아버지가 마틸다를 이상한 학교에 보내고 그곳에서 학생들을 억 합하고 공포로 지배하는 트렌치불 교장을 만난다. 마틸다는 자신의 초능력을 이용해 교장을 쫓아내게 되고 죄를 짓고 떠나는 부모로부터 입양 허락을 받아 학생들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담임 선생님 미스 허니와 행복한 가정을 꾸리게 된다. 본 글에서는 미디어 소비에 대한 풍자를 살펴보고 어린이도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어린이의 사회적 책임을 탐구해 본다. 또한, 다양한 교육 모델을 비교해 보겠다. 1. 미디어 소비에 대한 풍자영화 는 단순한 어린이 영화가 .. 2025. 2. 25. 영화 <더웨일> 부모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신체와 감정의 관계, 치유의 순간 영화 의 주인공 찰리는 272kg의 거구로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대학 강사이다. 본인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고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딸을 초대하고 매일 자신을 찾아와 에세이 한편을 완성하면 전 재산을 주겠다고 제안한다. 본 글에서는 을 통해 부모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탐구해 보고, 찰리의 신체적 제약이 그의 감정과 대인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본다. 그리고 찰리가 일상 속에서 위안을 얻는 치유의 순간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1. 부모 역할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오랫동안 부모의 역할은 일정한 틀 안에서 규정되어 왔다. 특히 아버지는 가정의 경제적 지주로, 어머니는 자녀를 보살피는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부모상에 의문을 제.. 2025. 2. 25. 영화 <하치 이야기> 강아지의 시선에서 본다면, 하치가 인식하는 시간, 기다림과 단절 영화 (2009)는 충성심의 상징으로 알려진 개 '하치'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적인 작품이다. 대학 교수 파커가 퇴근길 기차역에서 길 잃은 강아지를 발견하고 집으로 데려와 보살핀다. 하치는 주인을 따라 출근길을 배웅하고 저녁이면 기차역에서 마중하기를 매일 같이 했다. 그러다 갑자기 강연중 파커가 쓰러지게 되고 그 뒤로 오지 않는 주인을 하치는 매일 기다리게 된다. 본 글에서는 강아지 하치의 시선에서 본다면 이야기가 어떻게 해석될지 분석해 보고 하치가 인식하는 시간은 어떠한지 탐구해 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하치의 기다림이라는 행동이 가지는 의미와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소통의 단절에 대해 살펴보자. 1. 강아지의 시선에서 본다면영화 를 볼 때 대부분의 관객은 인간인 주인(리처드 기어)의 시선에서 하치의.. 2025. 2. 24. 영화 <버커밍 아스트리드> 가족의 재구성, 창작과 현실의 경계, 문화 속의 아동과 교육 영화 의 주인공 아스트리드는 1920년대 스웨덴 시골에서 지냈으며 엄격한 생활 속에서 집안일이나 허드렛일을 도왔다. 하지만 아스트리드의 아버지는 그녀의 뛰어난 글솜씨를 알고 있었고, 그녀가 지역 신문사 인턴으로 일할 수 있게 힘썼다. 그 후 아스트리드는 그곳에서 삶의 전환을 맞이하게 된다. 본 글에서는 아스트리드가 전통적인 가족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형성하는 과정을 가족의 재구성이라는 주제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창작과 현실의 경계, 아스트리드의 문화 속 아동과 교육에 관한 부분을 탐구해 보자. 1. 가족의 재구성영화 는 스웨덴의 유명한 아동문학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젊은 시절을 다룬 작품으로, 그녀가 경험한 사랑, 상처, 그리고 모성애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특히, 영.. 2025. 2. 24. 영화 <헬프> 고백과 치유의 과정, 주방의 권력, 미소의 의미 영화 의 주인공 스키터는 돈 많은 남자랑 결혼하여 정원과 가정부가 있는 집에서 사는 게 최고라고 생각하는 친구들과 달리 대학 졸업 후 작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지역 신문사에 취직을 한다. 영화는 살림 정보 칼럼의 대필을 맡게 된 그녀가 흑인 가정부의 인생을 책으로 쓰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본 글에서는 흑인 가정부들의 고백을 통한 치유의 과정을 살펴보고, 1960년대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에서 주방의 권력에 대해 탐구해 보자. 1. 고백과 치유의 과정우리는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고백의 순간을 맞이한다. 때로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이, 때로는 억눌러온 진실을 용기 내어 밝히는 것이 우리의 내면을 치유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영화 헬프 (The Help, 2011)는 1960년.. 2025. 2. 2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