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5

영화 <러브, 어게인> 일보다 사랑, 재도약, 딸과 엄마 개봉일: 2017. 11. 16.장르: 드라마, 멜로, 코미디평점: 8.31등급: 12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97분감독: 헬리 메이어스 샤이어주연: 리즈 위더 스푼, 피코 알렉산더, 냇 울프, 존 루드니츠키, 마이클 쉰 1. 앨리스가 선택한 일보다 사랑영화 (원제: Home Again)은 표면적으로는 가볍고 유쾌한 로맨틱 코미디로 보인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하나의 중요한 질문이 숨어 있다. 바로, 인생의 재출발점에 선 한 여성이 왜 일보다 사랑을 먼저 선택했는가 하는 것이다. 앨리스는 이혼 후 두 딸을 키우며 독립적인 삶을 시작하려 애쓴다. 로스앤젤레스의 고급 주택에서 홀로 육아를 하며 동시에 자신의 경력을 쌓아가려는 그녀의 모습은 현대 여성의 대표적인 삶의 갈래를 보여준다. 하지만 영화는 앨리스가 .. 2025. 5. 26.
영화 <싱글 인 서울> 비혼 문화, 1인 주거공간, 야경과 외로움 개봉일: 2023. 11. 29.장르: 멜로, 로맨스, 코미디평점: 7.39등급: 12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03분감독: 박범수주연: 임동욱, 임수정, 이솜 1. 의 비혼 문화2023년 개봉한 영화 은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로 분류되기엔 아쉬운 작품이다. 이 영화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배경으로 2030 세대의 비혼 라이프스타일과 개인의 정체성, 사랑, 자아 찾기를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특히 영화는 현대 도시에서 비혼을 선택하거나 어쩔 수 없이 비혼 상태에 머물게 되는 사람들의 심리적 내면을 깊이 있게 들여다본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도시 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개인 심리의 복합적인 연결 고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주제다.비혼 문화는 더 이상 낯선 현상이 아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 2025. 5. 25.
영화 <왓 이프> 친구에서 연인으로, 연애 피로감, 고백 타이밍 개봉일: 2014. 11. 13.장르: 코미디, 드라마, 멜로, 로맨스평점: 7.67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97분감독: 마이클 도즈주연: 다니엘 래드클리프, 조 카잔, 메이건 파크 1. 속 친구에서 연인으로2013년 개봉한 영화 는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를 넘어, 현대인의 사랑과 우정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경계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특히 이 영화는 ‘친구에서 연인으로’ 발전하는 관계의 복잡성과 심리적 갈등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는 종종 누군가와 좋은 친구로 지내면서도, 그 우정이 사랑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고민한다. 이때 겪는 심리적 딜레마는 단순히 개인의 감정을 넘어, 관계의 안정성, 상실의 두려움, 새로운 가능성이라는 복합적인 요소가 얽혀 있다. 속 주인공 월리스(다니엘.. 2025. 5. 25.
영화 <루비 스팍스> 글쓰기, 타이핑의 감정 창조, 통제된 사랑 개봉일: 2012. 07. 25.장르: 멜로, 로맨스, 코미디, 판타지평점: 7.78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04분감독: 조너선 데이턴, 발레리 페리스주연: 폴 다노, 조 카잔 1. 글쓰기를 통한 창작자의 치유2012년 개봉한 영화 《루비 스팍스(Ruby Sparks)》는 사랑 이야기라는 껍질을 쓰고 있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창작자가 자신의 고통을 글쓰기와 허구의 세계를 통해 치유하고자 하는 절박한 시도가 숨어 있다. 주인공 칼빈은 젊은 나이에 문학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창작의 벽에 부딪혀 긴 시간 슬럼프를 겪고 있다. 외로움, 사회적 고립, 자기 회의, 그리고 관계에 대한 두려움이 그를 짓누른다. 그는 세상과의 소통을 멈추고, 자신 안으로만 침잠한다. 바로 그 시점에 꿈을 통해 등.. 2025. 5. 24.
영화 <아무도 없는 곳> 카페 공간, 우연한 만남, 정지된 순간 개봉일: 2021. 03. 31.장르: 드라마평점: 7.75등급: 15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83분감독: 김종관주연: 연우진, 김상호, 아이유, 이주영, 윤혜리 1. 영화 속 카페 공간2021년 개봉한 김종관 감독의 영화 은 화려한 사건이나 극적인 전개 없이, 차분하고 잔잔한 분위기로 관객의 내면을 깊숙이 파고든다. 특히 영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카페 공간은 단순한 배경을 넘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고독과 휴식, 그리고 인간관계의 이중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카페라는 공간이 주는 정서적 의미와 그 안에 숨겨진 사회적·심리적 함의를 영화는 매우 섬세하게 풀어낸다.서울 도심, 그중에서도 연남동이나 연희동 골목 사이의 조용한 카페는 현대인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아이러니한 공간이다. 겉으로는 휴.. 2025. 5. 24.
영화 <커피 메이트> 도피처, 침묵, 카페 음악 개봉일: 2017. 03. 01.장르: 멜로, 로맨스평점: 7.95등급: 청소년 관람불가러닝타임: 111분감독: 이현하주연: 윤진서, 오지호, 김민서 1. 커피숍이 아닌 '도피처' 로서의 카페는 단순한 불륜 서사를 그린 영화가 아니다. 이 작품은 외로움, 공허함, 그리고 관계의 빈틈을 조용히 응시하며, 그것이 어떻게 일상이라는 배경 안에서 발생하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영화의 대부분이 전개되는 카페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주인공들이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현실로부터 잠시 도망칠 수 있는 심리적 도피처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속 카페가 갖는 감정적 기능과 공간 미학을 중심으로, 이 공간이 어떻게 감정 서사를 조형해 나가는지를 살펴본다.영화 의 첫인상은 그리 특별하지 않다. 카페라는 공간은 현대인의.. 2025.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