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4

영화 <플립> 나무, 계란, 청소년 감정 표현 교육 기본 정보개봉일: 2017. 07. 12.장르: 멜로, 로맨스평점: 9.11등급: 12세 이상 관람러닝타임: 90감독: 로브 라이주연: 매들린 캐롤, 캘런 맥오리피 1. 나무에 대한 집착 - 줄리의 상실 트라우마영화 (Flipped)은 단순한 청소년 로맨스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감정의 결핍, 심리적 성장, 환경적 상처 같은 복잡한 정서적 층위가 촘촘히 짜여 있다. 줄리 베이커라는 소녀가 한 나무에 보이는 깊은 애착은 단순한 자연 사랑이나 낭만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줄리의 삶을 지탱해온 정서적 기둥이자, 불안정한 현실을 이겨내기 위한 감정적 피난처였다. 플라타너스 나무는 줄리의 기억 속 가장 안정된 장소이며, 정체성을 지탱해주는 상징적 구조물로 기능한다.줄리가 이 나무를 처음 본 순간부터 “내 .. 2025. 4. 1.
영화 <카페 벨에포크> 기억 조작, 세트 디자이너 시선, 과거 체험 산업 기본 정보개봉일: 2020. 05. 20.장르: 코미디평점: 8.77등급: 15세 이상 관람러닝타임: 115감독: 니콜라스 베도스주연: 다니엘 오떼유, 기욤 까네, 도리아 틸리에, 화니 아르 1. 속 기억 조작의 윤리적 문제사람의 기억은 정적인 데이터가 아니라 끊임없이 다시 쓰이는 감정의 흐름이다. 인간의 뇌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기억을 재해석하고 왜곡하는 능동적인 기관이다. 영화 는 이러한 기억의 본질을 영화적 상상력을 통해 구현하며, 그 과정에서 다소 불편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이 발생된다. 이 작품은, '기억을 재현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한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든다.영화 속 주인공은 1970년대의 한 카페에서 아내를 처음 만났던 그 순.. 2025. 4. 1.
영화 <청설> 제목 의미, 드러나지 않는 감정, 보는 청각 영화 기본 정보개봉일: 2024. 11. 06.장르: 드라마, 멜평점: 8.27등급: 전체 관람가러닝타임: 109분감독: 조선호주연: 홍경, 노윤서, 김민주 1. 제목의 의미 - 소리와 말 그리고 숨겨진 진조선호 감독의 2024년 영화 은 제목부터 다층적인 의미를 품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두 글자에 불과하지만, 이 두 글자는 영화 전체의 분위기, 인물의 관계, 그리고 감독이 전하고자 했던 정서적 세계관을 응축하고 있다.‘청설(聽說)’은 중국어나 한자어 기반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직역하면 “들은 이야기”, “풍문” 또는 “소문에 의하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이 단어를 한 글자씩 쪼개면 그 안에 더욱 깊은 철학이 숨어 있다. ‘聽(들을 청)’과 ‘說(말씀 설)’, 말 그대로 ‘듣고 말함’이.. 2025. 3. 31.
영화 <her> 집착과 해탈, 1인 가구 사회, 글쓰기 직업 기본 정보개봉일: 2014. 05. 22.장르: 드라마, 멜로평점: 8.67등급: 15세 이상 관람러닝타임: 125분감독: 스파이크 존즈주연: 호아킨 피닉스, 에이미 아담스, 루니 마라, 스칼릿 조핸 1. 와 불교사상 비교 - 집착과 해탈스파이크 존즈 감독의 영화 는 2013년에 개봉했지만, 지금도 여전히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작품이다. 인공지능 운영체제와 인간이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은 얼핏 보면 미래지향적인 SF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이 진정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기술 그 자체가 아닌, 인간 감정의 본질, 외로움의 실체, 그리고 ‘놓아주는 것’에 관한 이야기다. 바로 이 지점에서 불교적 관점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불교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주제들, 즉 집착, 무상, 무아.. 2025. 3. 31.
영화 <월플라워> 내향성, 찰리가 좋아한 책, 이해 받는다는 것 기본 정보개봉일: 2013. 04. 11.장르: 드라마평점: 9.10등급: 15세 이상 관람러닝타임: 102 감독: 스티븐 크보스키주연: 엠마 왓슨, 로건 레먼, 에즈라 밀러 1. 찰리의 MBTI를 통해 본 내향성의 오해와 진실영화 《월플라워》는 고등학교라는 복잡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한 소년이 어떻게 자신을 발견하고, 타인과 관계 맺는지를 섬세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찰리는 전형적인 ‘조용한 아이’다. 그는 말수가 적고,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스스로를 ‘관찰자’로 설정한다. 이 캐릭터는 많은 관객들에게 내향적인 사람의 전형적인 이미지로 다가온다. 많은 이들이 MBTI의 내향형(Introversion)을 ‘내성적이고 수줍은 사람’으로 오해한다. 하지만 MBTI 이론에서의 내향성은 훨씬 더 복잡.. 2025. 3. 30.
영화 <달링> 의료기기 디자인 시작, 호흡권, 존엄성 기본 정보개봉일: 2018. 04. 12.장르: 드라마, 멜로평점: 9.08등급: 12세 이상 관람가러닝타임: 118분감독: 앤디 서키주연: 앤드류 가필드, 클레어 포이1. 의료기기 디자인의 시작점이 된 침대영화 은 단순히 한 남자의 병과 싸운 실화를 다룬 감동적 이야기로만 볼 수 없다. 이 작품은 인간의 존엄성과 기술의 관계, 그리고 디자인이 어떻게 생존을 넘어 삶의 ‘의미’를 바꾸는가에 대해 심도 있는 질문을 던진다. 루게릭병으로 전신 마비 판정을 받은 로빈 카브디시는 단순한 생존을 거부하고, 삶의 질에 도전했다. 그리고 그 출발점에는 ‘침대’가 있었다. 우리가 흔히 인식하는 의료용 침대가 아닌, 인간 중심적 사고와 디자인, 그리고 기계 기술이 결합된 최초의 이동형 인공호흡기 침대. 이 침대는 단순한.. 2025. 3. 30.